Spring (18)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2) - DI(의존성 주입)이란?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핵심기능 중 하나인 DI(Dependency Injection)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간단하게 의존에대해서 설명하자면 한 A클래스 내에서 B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해서 사용한다고하면 A클래스는 B클래스에 의존하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의존을 설정하는 방식에는 의존객체를 직접 설정, DI코드를 이용한 외부에의한 의존설정 방식이 있다. 1. 생성자 방식으로 의존 설정 예시 private Enter enter = new Enter(); 이렇게 작성할 시 단점으로 Enter 클래스를 상속이나 구현받은 하위 클래스를 사용해야 할 때 private Enter enter = new subEnter(); 이런식으로 코드를 변경해주어야 한다는 단점이있다. 2. DI 방식으로 의존 설정 DI방식으.. Spring(1) - Spring과Maven 자바개발자라면 반드시 알아야할 표준 프레임워크인 스프링에 대해서 알아보려고한다. 스프링이 지원하는 주요 모듈은 아래와 같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스프링 데이터 스프링 시큐리티 스프링 배치 스프링 인터그레이션 스프링 소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메이븐이나 그래들같은 빌드도구들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빌드 도구들의 특징은 의존모듈(jar 파일) 관리에 있다. 필요한 API나 라이브러리가 있으면 메이븐 의존을 통해 중앙 레파지토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pom.xml 설정을 통해)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지원하는 주요모듈간에는 서로 의존관계가 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된다. https://github.com/spring-projects/spring-framework(웹개발자를 위한 Sprin.. 이전 1 2 3 다음